안뇽하세요?
뉴욕 타임지도 극찬한 그 영양소,
페니실린 개발에 필적하는 의학계의 혁명
안 먹은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먹은 사람은 없다.
오늘의 주제는 MSM입니다.
MSM이 왜 만병 통치약으로 불리는지
또 어떤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MSM, Methyl Sulfonyl Methane 줄임말로 식이유황이라고 하는데요.
말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유황이라는 뜻입니다.
유학을 먹는다고 하면 낯설게 느껴질 수가 있어요.
하지만 유황은 아주 오래 전부터 중국 인도 이집트 그리스에서 사용되어져 왔고
동의보감에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는 칼슘이 칼륨 다음으로 많은 화합물이고요.
손톱 발톱 머리카락 연골 피부 등 다양한 곳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 중 심장을 둘러싼 심낭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그래서 심장에 암이 없는 여러 이유 중에 한 가지지 않을까? 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식약처에 황 하루 권장량은 1500 mg 정도 되는데
음식만으로 이를 챙구리나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안전하게 황을 공급할 수 있는 식이유황
즉 MSM 이 알려지면서 그 관심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MSM의 역사는 1930년대 발견된 DMSO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됩니다.
원래 DMSO는 자연적으로 대기 순환을 거쳐 해송의 리그닌이라는 성분을 통해
발견되는 화학물질이었습니다.
1930년 러시아의 화학자에 의해서 처음 합성 되었으나
대부분 산업용 공업용으로 개발되고 있었는데
1950년대 미국의 제이콥 박사가 신장 이식을 위한 냉동 기술을 연구하던 중에
DMSO를 알게 되면서 통증 감소와 염증 억제 효과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후 제이콥 박사가 통증 환자들에게 DMSO를 사용해서
큰 효과를 보게 되고 1963년 미국 외과 의사 대학회에서 발표하게 됩니다.
뉴욕타임즈도 의학계의 가장 놀라운 사건이라며
전면 기사를 싣었고요.
페니실린 개발에 필적하는 의약계 혁명이다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후 10만명 이상의 환자를 포함한
1,500 건 이상의 연구가 시행 되었고요.
주로 근육이나 골격 염증에 관한 내용들이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1978년 FDA에서는 DMSO를 염증성 방광염에 대한
처방 치료에 사용해도 된다는 승인을 했죠.
이밖에도 캐나다 영국 독일 스위스 등 전 세계 125 개국에서
관절염이라든지 당뇨성 궤양 피부 경화 등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DMSO는 굴이나 생선 비린내 같은 게 굉장히 심하게 났고
장기간 사용하면 못견딜 정도로 악취가 심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중단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1980년 초, 로버트 허슬러라는 박사가
DMSO의 대사산물의 하나인 MSM을 연구하기 시작합니다.
그 결과 DMSO의 유익한 결과가 알고보니 대사 산물인 MSM 때문이었고
체내 잔류 시간도 더 길다는 것을 발견해서 지금까지 MSM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1993년 이제 읽고 박사가 33년간 MSM을 환자에게 적응 시킨 임상 결과를 정리해서
MSM 기적 이라는 책으로 남겼습니다.
MSM은 항염 진통 해독 그리고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첫번째 항염 효과
MSM은 염증의 유발에 관여하는 NF-kB를 억제하고
TNF-a, 인터루킨6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두번째 진통효과
진통 효과를 보면 우리 몸에는 통증이나 온도 감각을 전달하는
C-fiber라는 신경섬유가 있는데요.
MSM은 C-fiber를 통해 전달되는 통증을 억제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MSM은 관절이나 연골에 도움이 된다라고 알려져 있는 거죠.
실제로 50세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10일 동안 MSM 1200mg 을 섭취 시켰더니
가짜 약에 비해 관절통 관절경직 걷기 침대에서 일어나기 계단 내려가기 등의
여러 가지 증상들이 개선됐다라고 합니다.
세번째 면역과 해독에 도움이 됩니다.
MSM은 글루타치온을 만드는 회로에 매티오닌 시스테인 등의 황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글루타치온 생합성을 증가시켜 줍니다.
일부 연구에서도 MSM이 간에서 글루타치온을 증가시켜 간손상 보호의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도 있었습니다.
네번째 피부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피부 머리카락 손 발톱은 고농도의 유황이 함유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근육 뿐 아니라 결합조직 피부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특히 MSM은 비타민 c 와 함께 콜라겐 생성 과정을 도와주는
대표적인 영양소입니다.
해외에서는 심한 피부 손상 이후에 흉터에 생성을 줄여주는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죠.
이밖에도 msm 은 혈관이나 결합 조직에 쌓여 석회화가 된 칼슘의 침전물을 용해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어서
칼슘 포스페이트 디쏠버라는 별명도 있고요.
동물 실험에서는 소화기 피부 등의 점막계에 흡수되서
점막을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자가면역질환 암에도 도움이 된다라는
연구 결과들도 있었습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MSM이 관절건강에만 좋다고 알고 계시지만
다양하고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MSM을 드셔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연골과 관절 건강이 좋지 않은 분들
두번째 만성 통증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들
세번째 체내 석회와 관련된 질환이 있으신 분들
네번째 탈모 손발톱이 약화된 분들
다섯번째 화상이나 피부 조직 손상과 관련된 분들
여섯번째 전신 해독기능 강화가 필요한 분들
아셨죠?
이렇게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어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생각되지만
사람의 질병과 그 개선은 특정 영양소 하나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의 필요조건일 순 있어도
충분 조건은 되수 없는 것이죠.
혹시 오늘은 어떤 음식 드셨나요? 운동은 어떻게 하셨나요?
영양제 먹기 전에 내가 뭘 먹었는지
운동은 또 얼마나 했는지
스트레스는 얼마나 받았는
그거 부터 먼저 되돌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어떤 MSM을 먹어야 하고
어떻게 골라야 하고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영역